본문 바로가기

간추린뉴스

2023년 3월 16일 목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마스크 해제
→ 20일부터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 해제.
성인 72%, ‘그래도 쓸 것’ 응답.

2020년 10월 대중교통 등 12종 다중이용시설 마스크 의무화 이후 올 초까지 마스크 단속은 약 30만건, 과태료 부과까지 간 건 2500건 정도다.(경향)



2. 인도네시아 한 지자체, 고3 새벽 5시 30분에 등교 실험 왜?
→ 학생 안전, 효용성 의문 제기에도 강행.
‘목표는 아이들 최고 대학 진학하는 것’...
인도네시아 학교의 평균적인 등교 시간은 오전 7시에서 8시 사이.(한국)



3. 골프공 비거리 성능 제한
→ 영국왕립골프협회)와 미국골프협회,
‘시속 127마일 속도로 쳤을 때 290m 이상 날아가지 않도록 3년 안에 규정을 바꿀 계획’ 발표.
장거리 승부 위주의 경기가 골프 묘미 해친다는 이유.(매경 외)



4. ‘K팝, 반짝 인기로 끝날 우려... 엔터계의 삼성·현대차 나와야’
→ 방시혁 하이브 의장, 관훈포럼 연설.
실제, K팝 음반 수출은 2020년부터 감소세.
동남아시아에서 지난해 음반 수출은 전년보다 30% 줄어.(중앙)



5. ‘적당한 음주는 없다’
→ 적당한 음주는 심혈관계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일주일에 표준잔(맥주 355mL 1캔)으로 두 잔 이하를 마셔야 저위험군이 된다.
이전 권고량은 1주일에 남성 15잔, 여성 10잔이었다.
알코올이 DNA에 손상을 준다는 등 새로운 사실이 반영된 결과이다.(중앙, 정재훈 약사·푸드라이터)



6. 20년 넘게 1인당 5000만원... 예금자 보호한도
→ 미 SVB은행 파산 계기, 1억으로 올리자 여론.
현재 미국은 3.2억원(25만달러), 유럽 1.4억원(10만유로), 일본 9700만원(1천만엔).(한경)




7. ‘척추측만증’ 90% 원인 몰라
→ 무거운 책가방이나 조잡한 책걸상, 잘못된 자세 때문에 척추가 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잘못된 통념이다.
보조기 착용, 수술 등 방법이 있는데 도수치료 및 카이로프락틱 등은 추천하지 않는다.
의학적으로 입증된 방법이 아니다.(한경, 황창주 서울아산병원 척추측만증센터장)



8. 아르헨티나, 100% 넘는 인플레
→ 2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102.5% 상승...
싸기로 유명한 쇠고기도 한달만에 35% 올라.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이지만 1980년대 부채 위기 이후 만성적인 인플레이션, 경제적 변동성에 시달리고 있다.(경향)

♢소고기 등 생필품값이 상승 주도…
♢전체 물가가 1년만에 2배로
♢'공정한 가격'·고액권 발행 등 인플레잡기 안간힘…효과는 '미미'




9. 지하철 개찰구 나갔어도 바로 다시 타면 무료
→ 잘못 내렸거나, 반대편 노선 타기 위해, 화장실에 가기 위해 나간 경우 10분내 다시 타면 요금 안 물려.
서울지하철 올 하반기.(동아)



10. 인공지능 챗GPT 한계는?
→ 1년새 더 똑똑해진 새 버전 ‘GPT-4’ 출시.
음식재료 사진 보여주면 요리법 알려 줘.

미국판 수능 SAT에서는 상위 7%, 변호사 시험에서는 상위 10% 수준 성적.
이전 버전은 하위 10% 성적.(한국 외)

▼1년 사이 이렇게 더 똑똑해진 챗G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