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추린뉴스

2025년 3월 28일 금요일 신문을 통해서 알게 된 것들

1. 암, 한국인이 일본, 중국인보다 많다
→ 보건복지부 국가암등록통계(2018~22년)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 10만명당 암 발생이 287명으로 미국(367명)이나 영국(307명)에 비해서는 적지만, 일본(267명), 중국(201명)보다 많다.

한국인이 기대수명(남성 79세·여성 85세)까지 살 경우 통계적으로 남성은 37.7%, 여성은 34.8%가 암에 걸린다.(헤럴드경제)



2. 산불 7일째... 집계조차 불가능한 산불 피해
→ 지리산, 강원까지 확산. 사망자 26명.
의성에서만 22명 사망.
통제 불능 재해확산 우려.
다수 사망자는 산불 연기에 질식해 숨졌거나 대피 과정에서 참변.(아시아 경제 외)

◇사망자 1명 늘어 총 28명
◇중상 8명·경상 24명…인명피해 총 60명



3. 미국 주식 투자한 공직자, 재산 급증
→ 신고재산 74억554만원(광역단체장 1위) 오세훈 서울시장은 엔비디아,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을 매수해 주식가치가 155만원에서 10억 5191만원으로 급증.
심우정 검찰총장도 21억원에서 46억원으로 크게 불어. (아시 아경제)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아이온큐, 엔비디아, 팔란티어테크
◇주식 평가액 3억9700만원서 지난해 연말 28억9503만원



4. '여성 공무원 많아 산불 현장에 투입할 인력 많지 않다'
→ 울산시장 발언 논란?
'남녀갈등 조장 발언' vs '현실의 고충을 사실대로 얘기한 것, 문제없다'...
여론 양갈래.(아시아경제)



5. 도심 흉기난동범, 제압 과정서 권총 쏴 사망케 한 광주 경찰관 '정당방위' 결론
→ 광주경찰청, 입건 등 형사처분 없이 수사 종결.
해당 경관이 범인의 1차 공격 당시 총기 사용을 자제, 부상을 입은 점, 테이저건을 먼저 사용한 뒤 총격을 가한 점 등 정당방위 정황으로 결론.(한국)

지난달 26일 오전 3시 10분쯤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스토킹 의심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50대 남성이 흉기를 휘두르는 모습이 CCTV에 찍혔다. 이 남성은 경찰관이 쏜 권총을 맞고 사망했다. 광주=뉴스1



6. '아들만 대학 보낸다'는 먼 옛날 이야기...
'80년생 부터 여성이 남성보다 고학력
→ 1980년대생 이전까지는 대졸 비율이 남성이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역전.

1980~84년생은 남 69.4% vs 여72.1%.
1985~89년생은 72.2%, vs 77.3%.
이후 세대는 여성이 10% 이상 많아.(국민)



7. 관세폭탄 등에 업고 3위 미 마이크론, 삼성 제치고 1위 노린다?
→ 마이크론 내년부터 자국내서 메모리 본격 생산..
대미 수출 반도체의 약 79%가 메모리인 한국으로선 큰 타격 예상.
업계 관계자, 3년간 안에 미국 수출분의 상당 부분이 마이크론으로 대체될 수 있다.(문화)




8. 상조업체와 가전, 렌탈업체 '결합 판매' 주의보
→ 적금성 상품인줄 알고 가입, 사은품 받았는데 알고보니 200개월 납입해야 원금보장되는 '상조 결합 상품...
해약하려면 사은품으로 받은 애플워치와 에어팟 프로 값 300만원 내라...(경향)

■"상조서비스 가입 때 내용 꼼꼼히 확인"…피해예방주의보 발령
■공정위-소비자원, 최근 3년간 상조 결합상품 피해 상담건수 8987건
■'고가 전자제품 제공', '전액 환급 적금형 상품' 등 내용 정확히 확인



9. 수능 종료음 1분 30초 일찍 울린 국가 배상책임 1인당 300만원
→ 수험생 측은 재수 비용 등을 포함해 1인당 2000만원 청구,
반면 교육부 2교시 후 다시 1 분 30초 추가 시간 준 만큼 문제가 없다는 입장.

서울 중앙지법 (1심)은 2024학년도 서울 경동고 시험장 수험생 43명에 각 100만원(2명), 300만원(41명)씩 지급하라 명령.
수험생측은 항소 밝혀.(조선)



10. '머스크'도 트럼프 관세 전쟁 피해자?
→  내일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 (significant)'고 X에 올려 눈길.
테슬라 미국 공장은 멕시코와 캐나다 등에서 전기차 관련 부품 조달하고 있다.(매경)

출처: 자전과 공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