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만 명대 중반으로 예상됩니다.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스텔스 오미크론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유행 정점이 지연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스텔스 오미크론, BA.2 변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BA.2변이는 오미크론의 하위계통으로 전파력만 빠를 뿐 기본적인 특성이 비슷해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초기엔 PCR검사로 변이 구분이 어려웠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진단키트로는 확인이 가능합니다.
● 확진자 폭증에 어제 0시 기준 재택치료 환자도 199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동네 약국마다 해열제와 같은 기본적인 상비약은 물론 소아용 해열제와 감기약까지 동나는 등 수급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식에 맞춰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청와대가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신구 권력이 정면 충돌하는 양상인데 정치권의 공방도 고조되고 있습니다.
● 본격 활동에 들어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이번 달 부처 업무보고를 마무리하고 취임식 전인 5월 초 국정과제를 확정해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전경련 등 경제 6단체장과 만난 윤석열 당선인은 규제 개혁을 강조했습니다.
●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도 오미크론 하위변위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코로나 신규 확진자 감소세가 멈추고 다시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감염병 권위자인 앤서니 파우치 박사는 재확산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더 빠른 금리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현재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다고 평가하면서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0.5%p, '빅스텝' 인상을 단행할 의지가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 대부분 전선에서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의 최후통첩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의 협상 기간에도 군사작전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 현지시간으로 어제 오후 1시 15분쯤 승객과 승무원 132명을 태우고 광둥성 광저우로 향하던 중국 동방항공 소속 여객기가 이륙한 지 약 1시간 뒤 중국 남부 산악 지역에 추락 후 폭발했다고 합니다. 추락사고가 발생한 중국 여객기에 한국인 탑승객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군과 정보당국이 사이버 위기 경보를 주의 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해 러시아 경제 재재에 동참한 상태에서 연일 무력시위를 이어가는 북한의 '사이버 도발'이 우려되기 때문인데요. 실제, 최근들어 북한이 배후로 보이는 해킹 시도가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지난해 3월 보강공사를 마친 서울 성산대교 남단에서 무더기로 균열이 생긴 사실이 한 언론사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콘크리트 피로도 시험 등 공사 자재에 대한 성능시험조차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독성 물질에 노출된 노동자 16명이 직업성 질병 판정을 받은 두성산업 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이 청구됐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경영책임자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첫 사례였는데 하지만 이 영장은 어젯밤 법원에서 기각됐습니다. 피의자가 범행을 인정하고 있고, 증거가 상당히 수집돼 인멸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 기름값이 치솟으면서 경유값 또한 리터당 2천원에 육박하며 휘발유와 별 차이가 없어졌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러시아산 경유 공급량이 줄어든데다 여행객이 늘면서 정유사가 경유 대신 항공유를 많이 생산하게 된 것도 경유 공급을 줄였기 때문입니다.
● 코로나19 등으로 화장이 크게 늘면서 전국에서 화장장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화장장에서는 다른 지역의 화장 의뢰는 접수조차 받지 않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 최근 공개된 '노브랜드 피자'가 중소 피자전문점 '고피자'의 디자인과 콘셉트를 표절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합니다. 노브랜드 피자 매장의 간판 색깔과 직원 유니폼, 주방 앞치마 색깔까지 긴 건너 맞은편에 있는 고피자와 비슷한 게 문제가 됐다고 합니다.
● 직장인들이 출근하는 데 평균 52분을 쓰고 퇴근에는 59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예상과 달리 대전권과 대구권의 출퇴근 시간이 수도권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는데요. 수도권은 출근과 퇴근에 각각 45분, 50분이 쓰였고 대전권과 대구권은 58분, 64분이 소요돼 수도권보다도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 은퇴 후 노령연금을 처음 받는 시기는 출생연도에 따라 기본적으로는 만 60세부터 65세까지입니다. 연금 수령 시기를 늦추면 연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데요. 수령 나이에서 최대 5년간 수령 시기를 연기할 수 있는데, 1년 미루면 7.2%, 5년을 연기하면 36% 연금액을 더 받습니다.
● 코로나19로 경제적 피해를 본 특수형태근로종사자나 프리랜서들 중에 지원금을 한 번도 받지 않은 대상자는 이번에 신청하면 최대 1백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10월과 11월에 50만 원 이상 소득이 있고, 재작년 연소득이 5천만 원 이하여야 하고 작년 12월이나 올해 1월 소득이 비교 대상 기간보다 25% 이상 줄었어야 접수 가능합니다.
● 가족돌봄비용은 코로나19에 걸린 가족을 보살피거나, 코로나19로 인한 휴원, 휴교, 원격 수업 등으로 가정에 있는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돌보기 위해서 무급으로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한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가족돌봄휴가를 쓴 경우 하루 5만 원씩 근로자 1인당 길게는 열흘간, 그러니까 최대 5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그림책으로 국제무대에서 주목 받아온 이수지 작가가 '아동문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안데르센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 작가로서는 최초의 쾌거입니다. 안데르센상은 세계적인 동화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을 기념하기 위해 1956년 만들어진 상으로, 2년마다 아동문학 발전에 공헌한 글과 그림 작가를 한 명씩 선정합니다.
● 영화 '미나리'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거머쥔 배우 윤여정 씨가 이번에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드라마로 찾아옵니다. '미나리'가 미국 이민을 다뤘는데, 이번에는 4대에 걸친 이민자 이야기를 담았습니다.출처:간추린 아침뉴스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3월 22일)
1.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경제단체장들과 만난 자리에서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신념을 재천명.
21일 윤 당선인은 6개 경제단체 회장들과 도시락으로 점심 식사를 함께 하면서 "우리나라 경제가 이제는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완전히 탈바꿈해야 한다"며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고 밝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6개 경제단체장과 오찬 간담회를 열었다.
윤 당선인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김은혜 대변인,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한주형 기자>
2.문재인 정부 국정과제로 한국전력이 출연해 세워진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한전공대)가 지난해 100억원 규모의 종합부동산세(종부세) 폭탄을 맞은 것으로 확인.
업계에 따르면 한전공대는 지난해 축구장 48개 면적과 맞먹는 40만㎡ 규모의 학교 부지가 대부분 종부세 부과 대상 토지에 포함되면서 100억원의 종부세를 고지받아.

♢애매한 종부세 조항에 稅폭탄 한전공대 '멘붕'
♢사업용 용지에만 비과세 적용
♢건설중인 땅엔 종부세 그대로
♢지역구 의원 법 개정안 발의
3.탄소배출을 줄이는 기술, C테크(기후·탄소·청정기술) 분야의 초기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첫 민간 펀드가 100억원 규모로 조성.
C테크가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부(富)의 원천으로 떠오르는 상황.
매경미디어그룹은 창간 56주년을 맞아 맥킨지&컴퍼니와 함께 C테크 경쟁의 승리공식을 제시하는 제31차 비전코리아 국민보고대회를 23일 개최

♢23일 제31차 국민보고대회
♢C테크 전용 100억 신규 조성
♢국내 젊은 창업가 대거 출자
4. 물가 고공행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큰 폭의 물가상승을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돼.
한국경제연구원은 2018~2019년 대비 2020~2021년 체감물가 변화폭을 조사한 결과 소득하위 20%(소득 1분위)가 2.7%로 가장 높았다고 밝혀.

♢무섭게 뛰는 물가 어쩌나…
♢소득 하위 20%, 적자가구 비율 49.7%→57.6% 확대

♢한경연, 2018~19년 대비 2020~21년 변화 분석
5.매일경제신문이 18년 연속으로 국내 최고경영자(CEO)들이 뽑은 '올해의 명품 경제신문'에 뽑혀.
21일 경영 전문지 월간현대경영은 매출 기준 국내 500대기업 CEO를 대상으로 신문, 승용차, 스마트폰 등 총 32개 분야에서 명품 브랜드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
이번 조사에서 매일경제신문은 경제전문지 분야에서 과반이 넘는 비율(56.9%)로 18년 연속 1위 자리 지켜

6. 무역수지가 이달 들어 지난 20일까지 적자를 기록.
관세청은 이달 1~20일간 무역수지(통관기준 잠정치)가 20억7800만달러 적자라고 21일 밝혀.
작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이자 지난달 동기 대비 적자 확대를 보인 것.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고유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수입이 수출보다 더 많아진 영향.





♢- 3월1~20일 20억7800만달러 적자
♢- 원유·가스 등 수입액 1.5배 이상↑
'간추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3월 22일 화요일 매일 NEWS BRIEFING (0) | 2022.03.22 |
---|---|
개장전★주요이슈 점검 (0) | 2022.03.22 |
<모닝 뉴스> 2022. 3. 22 화요일 (0) | 2022.03.22 |
2022년 3월 22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0) | 2022.03.22 |
<오늘의 날씨> 2022년 3월22일 화요일 (0) | 2022.03.22 |